[Aws 이론] 클라우드 컴퓨터란?
2022. 8. 1. 21:53ㆍAws/Aws 이론
데이터 센터 → 클라우드 컴퓨터
데이터 센터에서 클라우드 컴퓨팅으로 넘어가는 시기에 Aws를 공부하면 좋을 것 같아서 공부를 하며 기록하게 되었다.
각 시설의 기본 정의부터 장,단점을 기록하려한다.
클라우드 컴퓨터란?
클라우드 컴퓨팅 ( Cloude Computing )
-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를 클라우드에 저장하고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한 기기에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작업이 가능
- IT 리소스를 인터넷을 통해 온디맨드로 제공하며 사용자는 본인이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는 것
- 클라우드 컴퓨팅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wikipedia.org)
데이터 센터
데이터 센터
- 각종 데이터를 모아두는 시설, 어플리케이션을 접속할 수 있게 호스팅하는 실제 시설을 말한다.
- 서버 컴퓨터와 네트워크 회선 등을 제공하는 건물이나 시설을 통칭한다.
시설 설비시 필요 목록 | |
컴퓨팅 시스템을 위한 하드웨어 | 네트워킹 장비 |
전원 공급 장치 | 운영 인력 |
전기 시스템 | 환경제어장치(에어컨, 냉각기, 펜..etc) |
백업 발전기 | 기타 인프라 |
..... |
기존의 서비스 / 플랫폼 / 인프라의 제공자 혹은 회사는 기획 당시에 운영자금을 바탕으로 본인의 어플리케이션을 호스팅할 서버를 만들어야했다. 다만 이러한 데이터 센터의 개설은 여러가지 장/단점이 존재한다.
장점
- 본인이 원하는대로 커스터마이징을 하여 만들 수 있다.
- 로컬 서버는 클라우드 기반보다 빠른 속도를 제공한다.
단점
- 투자비용 증가 - 자체 커스터마이징은 본인이 그 비용을 전부 부담해야하기에 투자비용의 증가
- 느린 구축시간 - 데이터 센터를 설립하는데 조건에 맞는 기기들의 설정 및 조립시간
- 상황변경 ( 유치하고자 하는 고객의 증가, 서버 증설, 서버 감축..etc )에 대한 대처가 느리다.
- 데이터센터에 관한 유지보수를 직접 해야한다.
###
아무래도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해 공부를 하다보니 데이터 센터에 대한 장점은 찾기 힘들었다. 추후 공부를 하면서 데이터 센터에 관한 장점을 더 알게 되면 추가할 예정이다
###
클라우드 컴퓨팅
클라우딩 컴퓨팅
- 본인이 필요한 만큼 IT 리소스를 인터넷을 통해 제공받는 것이다.
- 수요에 맞춰 반응을 하고 사용한 만큼 비용을 지불한다. 이를 온디멘드 라고 한다.
장점
- 데이터 센터에 비해 초기 자본 비용이 가변비용으로 각 상황에 맞춰 능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 호스팅하는 서버가 클라우드로 올라가면서 데이터센터에 설립에 대한 시간을 아낄 수 있다.
- 규모의 경제 - 대량구매를 통한 공동구매 효과가 있다.
- 용량 추적 - 최대 피크를 수요에 따라 정할 수 있다.
- 서버 및 자원의 사용량 최적화 가능 및 잉여자원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 쉬운 유지보수
- 제품 개발 집중
# 최대피크 - 가장 사용량이 많은 시기, 즉 가장 많은 자원을 소모하는 기간
'Aws > Aws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이론] Ec2란? (0) | 2022.09.23 |
---|---|
[AWS 이론] 가상화란? (0) | 2022.08.17 |
[Aws 이론] IAM란? (0) | 2022.08.12 |
[Aws 이론] Aws 구조 - 리전, 가용영역, 엣지 로케이션 (0) | 2022.08.08 |
[Aws 이론] 클라우드 컴퓨팅 종류 (0) | 2022.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