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ker/사용(3)
-
[Docker & Git Action] 이미지, 컨테이너 ~ 깃액션 사용까지 정리
1. 서론 - 도입 과정1. 도입 - Docker, 컨테이너와 이미지까지Docker의 학습 사유부터 CICD까지의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고 해당 코드들을 기록하려고 한다.초기에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가장 걸리던 점이 서로의 개발환경이 다르다는 점이었다. 그래서 개발자가 업데이트가 된 코드 및 테스트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각자 작업하는 환경에 맞는 세팅 값을 설정해줘야 했다. 또한 개발을 진행하다 보면 DB, Redis 등의 여러 가지 개발에 필요한 소프트웨어들이 존재하는데 그때에 맞춰서 해당 툴 및 데이터베이스를 깔아서 각 개발자마다 환경을 세팅해야 했다. 그렇기에 이때 생각한 것이 ‘컨테이너 개념을 배워서 적용시켜 보자’라는 것이었다.2. 중기 - DockerCompose까지이미지, 컨테이너 개념을 배우..
2024.09.29 -
[Docker] Docker HTTPS 적용
[Docker] Docker HTTPS 적용 [Spring] HTTPS 적용하기 (tistory.com) [Spring] HTTPS 적용하기 [Spring] HTTPS 적용하기 [HTTP] HTTPS란? (tistory.com) [HTTP] HTTPS란? [HTTP] HTTP / HTTPS란? 학습하는 웹 프로젝트에 HTTPS를 적용하기 위해 HTTPS를 먼저 알아보게 되었다. 기존 HTTP는 인터넷상에서 데이터를 주고 skyriv312079.tistory.com 이전에 local 환경에서 https를 적용시키는 것을 해봤다. 로컬에서 https로 작동하는 것을 확인했으니 이제는 해당 사항을 docker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적용하려고 한 과정을 기록하려고 한다. 과정은 다음과 같다. https 적용이 ..
2024.02.17 -
[docker] spring boot 배포하기
[docker] spring boot 배포하기 옛날에 친구와 같이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는 친구가 frontend, 내가 backend를 맡아서 개발을 하고 각자의 ide에서 실행시켜서 연결하면서 진행을 하였다. 다만 서버만 돌리면 되는 것을 각자의 ide를 켜고 실행하면서 메모리를 잡아먹는 것이 아까워서 방법을 찾아보았고 다음에는 docker 컨테이너를 통해 배포를 하면 된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적용하고자 하는 프로젝트에 적용하기 전에 기본 프로젝트에 적용하는 과정을 기록해두려고 한다. 과정 먼저 비어있는 기본 프로젝트를 생성해준다. 이때 다음 화면에서 웹 서버 유지를 위한 Spring Web을 dependencies로 추가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해당 서버가 올라왔다가 바로 내려간다. 프로젝트가 ..
2023.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