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sic] 의사코드(pseudo - code)란?

2022. 9. 30. 15:01Programming/Basic

의사코드(pseudo - code)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의 문법에 따라 쓰인 것이 아닌 일반적인 언어(자연어)를 프로그래밍 언어처럼 흉내 내서 작성한 코드

  • 자연어 + 프로그램 언어의 조합
  • 컴퓨터로는 실행이 불가
  • 자연어로 쓰여졌기에 사람들이 이해하기 쉬움
  • 모델을 간단한 모델링을 할 때 사용
  • 프로그래밍 언어의 정확한 문법을 따를 필요 없음
# 의사코드 예시

OTT 서비스에서 볼 영상 찾기

보고싶은 장르가 있는가 - yes / no
if no, OTT 종료
end

if yes, 해당 장르의 평점이 4점 이상인가 - yes / no
if no, 다른 장르 탐색

if yes, 흥미가 가는 영상이 있는가 - yes / no
if no, 다른 영상 탐색

if yes, 해당 영상을 재생 및 시청

 

순서도

 

 작업의 흐름 및 프로세스를 모아서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의 한 종류이다. 프로그램으로 만들 알고리즘을 도식화하는 작업의 결과물이다.  순서도와 의사 코드의 사용을 만들고자 하는 프로그램의 설계능력 향상 및 타인과의 이해도 보다 쉽게 접근 가능하다.

 

출처

의사코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wikipedia.org)

 

의사코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의사코드(슈도코드, pseudocode[1])는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각 모듈이 작동하는 논리를 표현하기 위한 언어이다.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의 문법에 따라 쓰인 것이

ko.wikipedia.org

순서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wikipedia.org)

 

순서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제 기능을 하지 않는 램프를 다루기 위한 단순 순서도. 순서도(영어: flowchart)는 워크플로 혹은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의 한 종류다. 여러 종류의 상자

ko.wikipedia.org

 

'Programming > Ba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Basic] UML  (0) 2022.12.01
[Basic] 얕은 복사와 깊은 복사  (0) 2022.11.16
[Basic] AJAX란?  (0) 2022.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