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구조(4)
-
[Data Structure] Linked List - 링크드 리스트
node - 노드 링크드 리스트란 노드란 것을 사용해서 구현한 하나의 자료구조이다. class Node: def __init__(self, data): self.data = data self.next = None 노드의 경우 위의 코드와 같이 생겼으며 생성자를 통해 구성을 살펴보자. 노드의 경우 두 가지 인자를 바탕으로 생성이 된다. 하나는 노드에서 담고자 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변수, 그리고 또 하나는 그다음에 올 노드의 정보를 담는 변수의 방식으로 생성이 된다. 노드의 경우 배열처럼 하나의 지정된 공간에 여러 가지 데이터를 담아두는 그런 자료구조가 아니다. 다만 노드는 메모리 여러 군데에 저장되며 노드 안에 다음 노드의 정보를 기입하여 다음 노드를 불러올 수 있는 식으로 데이터의 저장 및 활용이 가능..
2022.11.09 -
[Python] 알고리즘 - 파이썬
시작의 이유 기존에 자바랑 웹 개발의 백엔드 쪽에 흥미를 가지고 공부를 해서 기존에는 자바를 이용하여 코딩 테스트 준비를 하였다. 하지만 자바를 이용한 문제풀이에 어느정도 한계점을 느끼게 되었고 그 대안책으로 파이썬을 생각하게 되었다. 자바도 내가 그 안에 구현이 된 훌륭한 기능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이지 휼룡한 언어라 생각을 한다. 다만 알고리즘 문제풀이에는 짧은 식견으로나마 파이썬이 조금 더 적합하다고 생각을 하여 파이썬을 코딩 테스트 풀이 언어로 선택하게 되었다. 파이썬의 경우 다른 언어보다 좀 더 알고리즘 문제 풀이에 대한 라이브러리가 존재한다. 이는 강력한 장점이다. 내가 사용하고자 하는 메서드가 이미 라이브러리 안에 구현이 되어있다면 그냥 가져다가 쓰면 되는 것이다. 혹여 다른 언어를 사..
2022.07.02 -
[Python] 백준 알고리즘 10866번 - 덱
[Python] 백준 알고리즘 10866번 - 덱 문제 출처 : https://www.acmicpc.net/problem/10866 10866번: 덱 첫째 줄에 주어지는 명령의 수 N (1 ≤ N ≤ 1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명령이 하나씩 주어진다. 주어지는 정수는 1보다 크거나 같고, 100,000보다 작거나 같다. 문제에 나와있지 www.acmicpc.net 접근 방식 자료구조를 활용하여 푸는 문제이다. 파이썬에서는 'deque'라는 자료구조를 라이브러리로 지원을 한다. 해당 자료구조에서 지원하는 메서드를 활용해서 문제를 풀면 된다. 문제의 예제를 보면 명령문이 주어져있고, 그러한 명령문 중에 'push'의 계열의 명령문만 뒤에 띄어쓰기 다음에 숫자가 같이 입력이 된다. ..
2022.03.21 -
[Python] 백준 알고리즘 1927번 - 최소 힙
[Python] 백준 알고리즘 2407번 - 조합 문제 출처 : https://www.acmicpc.net/problem/1927 1927번: 최소 힙 첫째 줄에 연산의 개수 N(1 ≤ N ≤ 100,000)이 주어진다. 다음 N개의 줄에는 연산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정수 x가 주어진다. 만약 x가 자연수라면 배열에 x라는 값을 넣는(추가하는) 연산이고, x가 0 www.acmicpc.net 접근 방식 파이썬에서 구현이 되어있는 heap 자료구조를 사용하여 문제 코드를 작성하였다. 이번 문제의 경우 구현되어 있는 힙에 숫자를 넣고 빼며 진행이 되는 코드들이다. 0이 들어오면 문제에서 힙에 들어가 있는 가장 작은 수를 출력하면서 빼내는 문제이다. 따라서 0이 들어갔을 때 0만 존재한다면 0이 나오는 경우..
2022.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