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2)
-
[Docker & Git Action] 이미지, 컨테이너 ~ 깃액션 사용까지 정리
1. 서론 - 도입 과정1. 도입 - Docker, 컨테이너와 이미지까지Docker의 학습 사유부터 CICD까지의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고 해당 코드들을 기록하려고 한다.초기에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가장 걸리던 점이 서로의 개발환경이 다르다는 점이었다. 그래서 개발자가 업데이트가 된 코드 및 테스트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각자 작업하는 환경에 맞는 세팅 값을 설정해줘야 했다. 또한 개발을 진행하다 보면 DB, Redis 등의 여러 가지 개발에 필요한 소프트웨어들이 존재하는데 그때에 맞춰서 해당 툴 및 데이터베이스를 깔아서 각 개발자마다 환경을 세팅해야 했다. 그렇기에 이때 생각한 것이 ‘컨테이너 개념을 배워서 적용시켜 보자’라는 것이었다.2. 중기 - DockerCompose까지이미지, 컨테이너 개념을 배우..
2024.09.29 -
[TIL] Today I Learned - 221031
Today I Learned - 221031 TIL은 깃허브 블로그로 만들어서 올릴지 고민 중.. 221031의 TIL 시작 Git Git 개발자의 원격 코드 저장소. 로컬(개인 컴퓨터)에서 벗어나 외부(원격)에 본인의 코드를 저장하고, 타인과 해당 코드의 발전 가능 또한 각 코드를 저장하고 변경사항을 따로 추적해주는 유용한 원격 저장소 로컬 - 스테이지 - 원격(온라인 git) 로컬(개인 컴퓨터) .git 폴더가 존재하는 디렉터리를 기준으로 git에 올라갈 수 있는 파일들이 존재하는 폴더 스테이지 로컬에서 모든 파일을 올리는게 아닌 본인이 선택하여 github에 올릴 파일을 선별하는 곳 해당 스테이지에서 commit을 하면서 어떤 코드인지 메시지를 남기면서 git에 올리기 가능 원격 저장소(git) 본..
2022.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