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amming/Java(11)
-
[Java] static 개념 및 정리
김영한 강사님의 스프링 강의의 싱글톤 부분을 듣던 도중 static에 대한 지식이 부족해서 공부하면서 적어보려고 한다. 기본을 채우기 위해 공부하며 채워 넣고자 한다. static이란?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 args){} 우리가 자바를 시작하면 바로 처음 보는 코드이다. 사전적 의미의 static은 (변화 움직임 없이) 고정된, 고정적인 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그럼 java에서 static이란 무엇일까? 클래스, 메서드, 필드명에서 보이는 이 static은 해당 대상을 객체를 만들 때마다 생성이 되고 사용이 되는 것이 아닌 클래스, 즉 설계도에만 지정된 상태로 만들어 준다. 따라서 해당 클래스에서 static으로 지정된 자원은 객체의 생성에 따라 무한정 생성이 ..
2022.06.26 -
[Java] 자바의 추상 클래스 & 인터페이스 정리 / 상속
[Java] 자바의 추상 클래스 & 인터페이스 정리 Spring을 공부하며 추상 클래스(abstract class), 그리고 인터페이스(interface)의 차이에 대해 확실하게 정리하려고 적게 되었다. 두 개의 개념 모두 상속받는 클래스, 구현하고자 하는 인터페이스 내부의 정의된 메서드를 구현하는 것을 요구한다. 그렇지만 두 개의 개념은 명확히 다형성의 부분에서 차이점이 존재한다. 추상 클래스(abstract class) 추상 클래스는 상속에서 슈퍼 클래스로 사용이 된다. abstract로 선언이 된다. 슈퍼 클래스로만 사용이 된다. 추상 클래스의 경우 내부적으로 미완성의 메서드가 존재할 수 있기에 객체의 생성이 불가능하다. 상속을 받은 서브 클래스는 반드시 추상 클래스 내부에서 선언된 모든 추상 메서..
2022.03.29 -
[ORM - JPA] JPA를 고른 이유
[ ORM - JPA ] JPA란 무엇인가 JPA - Java Persistence API 자바 진영의 ORM 기준 표준이다. 이러한 ORM 기술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Java의 객체지향의 차이점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ORM - Object Realtional Mapping ORM - Object Relational Mapping 객체 - 관계 매핑의 줄임말이다. 결론을 말하자면 객체와 테이블을 매핑해서 서로의 차이점과 불일치 문제를 대신 해결해준다. 기존의 많은 개발자들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서로 다른 지향점으로 인해 그 차이점을 줄이고자 많은 시간과 코드를 소모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ORM이다. 이러한 ORM은 객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자 ..
2022.03.13 -
[IntelliJ] 단축키
단축키를 몰라도 IntelliJ에서의 개발은 어렵지 않지만 익혀두면 빠르게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 이클립스와 다른 단축키가 존재하기에 사용하면서 익히게 된 단축키들을 하나씩 정리해보려 한다. 구분 단축키 역할 네비게이션 Ctrl + E 최근 파일 목록 열기 Ctrl + N 클래스 검색 및 이동 Ctrl + 클릭 해당 객체의 class 파일로 이동 기능 Ctrl + Alt + Insert 파일생성 (에디터에서 눌러야함) Ctrl + Shift + Enter ; 작성하기 해당 단축키를 눌러주면 코드의 끝에 ; 를 작성해준다 Ctrl + Shift + F10 해당 코드 실행 편집 Alt + Enter 해당 코드의 퀵 픽스. 오류 및 수정사항 리스트 출력 Ctrl + / 주석처리 Ctrl + Shift + /..
2022.03.11 -
[Java] Enum - 열거형 타입(enumerated type)
Enum - 열거형 타입(enumerated type) 한정된 데이터를 가진 경우 사용하는 타입. 프로그래밍으로 표현을 할 때 데이터가 존재는 하지만 종류가 많지 않고 한정적인 경우 사용한다. 개수가 한정적이므로 데이터를 열거형으로 묶어주면 편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enum의 경우 class , interface와 동급의 형식을 가지는 단위이다. enum을 class라 여길 수도 있지만 프로그래밍 상의 편의성을 위해 이를 따로 분류하였다. class로 볼 수 있다는 이러한 특성으로 enum은 내부에 생성자, 필드, 메서드를 가질 수 있는 표현방식이다. 다만 편의를 위해 따로 분류가 된 만큼 enum만의 문법적 요소가 존재한다. -코드들은 Spring을 공부하면서 나온 예제에서 가져왔다. Enum 선..
2022.03.03